vscode

visual studio code c++ 개발환경설정 2: vscode 설정

sem; 2022. 4. 14. 00:44
반응형

이번 시간에는 저번시간 컴파일러 설치에 이어

 

c++ 개발환경설정을 위해 vscode를 설정해보겠습니다.

 

먼저 vscode extension을 설치해보겠습니다.

 

vscode에 들어오셔서 맨왼쪽 

이런 아이콘을 누르고

 

검색창에 c++이라고 치시면

 

다양한 extension들이 나옵니다.

여기서 

 

C/C++

 

C/C++ Extension Pack

 

C++ Intellisense

 

C/C++ Theme

 

정도 설치해주시면 됩니다.

 

참고로 vscode 한국어 번역을 원하시면 검색창에 korean 치시고

 

Korean(사용법) Language Pack for Visual Studio Code

 

설치해주시면됩니다.

 

그리고 이제 vscode를 설정해주기 전에 파일을 생성해야합니다.

 

원하시는 곳 아무데나 폴더를 만들어서 vscode 파일탭에서 폴더열기로 폴더를 열어줍니다.

 

 

그러면 이렇게 화면이 나오는데

 

저기 폴더위에 마우스커서를 올리면 새폴더라는 버튼이 나옵니다.

 

거기서 폴더의 구조를 잡아놓으면 됩니다.

 

저같은 경우에는

 

c_study

-baekjoon

--1234

----1234.cpp

----1234.py

--2345

-programmers

-swea

-leetcode

 

이렇게 잡아놓았습니다.

 

그래서 cpp파일까지 만들게 되면

 

이렇게 되고 이제서야 설정을 진행하게 됩니다. (휴... 힘드네요...저만 그런가요..?)

 

먼저 ctrl+shift+p를 눌르고 c++이라고 검색하시면

 

C/C++: 구성 편집(UI)라는 것에 들어가시면

 

이렇게 설정해주시면됩니다.

 

이후에

 

 

./vscode라는 폴더가 생기고

 

그 안에 이렇게 생긴 json파일이 생깁니다.

(그냥 생겼다는거만 알려드리는거고 이대로 냅두시면됩니다!)

 

그다음에 또 다시

 

ctrl+shift+p를 눌러

 

task라고 치시고 캡쳐된 프린터에 파란색깔을 따라 누르시면 됩니다.

 

여기 others까지 누르게 되면

이렇게 task.json파일이 만들어지게 됩니다.

 

{
    // See https://go.microsoft.com/fwlink/?LinkId=733558
    // for the documentation about the tasks.json format
    "version": "2.0.0",
    "tasks": [
        {
            "type": "shell",
            "label": "C/C++: g++.exe 활성 파일 빌드",
            "command": "C:/mingw64/bin/g++.exe",
            "args": [
                "-fdiagnostics-color=always",
                "-g",
                "${file}",
                "-o",
                "${workspaceFolder}/${fileBasenameNoExtension}.exe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options": {
                "cwd": "C:/mingw64/bin"
            },
            "problemMatcher": [
                "$gcc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group": "build",
            "detail": "컴파일러: C:/mingw64/bin/g++.exe"
        },
        {
            "type": "shell",
            "label": "run file",
            "command": "${workspaceFolder}/${fileBasenameNoExtension}.exe",
            "args": [
            ],
            "options": {
                "cwd": "C:/mingw64/bin"
            },
            "problemMatcher": [
                "$gcc"
            ],
            "group": {
                "kind": "test",
                "isDefault": true
            },
        },
    ]
}

위의 코드를 task.json 전체 복붙을 하시면됩니다.

 

그리고 ctrl+k+s를 누르면

 

저기 상단 맨 오른쪽 바로가기 키 열기(JSON)이라는 버튼을 클릭하시고

 

거기에

// 키 바인딩을 이 파일에 넣어서 기본값 재정의
[
    {
        "key": "ctrl+alt+c",
        "command": "workbench.action.tasks.build"
    },
    {
        "key": "ctrl+alt+r",
        "command": "workbench.action.tasks.test"
    },
]

이것을 복붙하시면 됩니다.

 

이제 드디어 다 되었습니다!

 

원하는 cpp파일에 가서

 

ctrl+alt+c를 누르면 build가 되고

 

ctrl+alt+r를 누르면 test가 됩니다.

 

ctrl+alt+c를 누른 후에 ctrl+alt+r을 누르면 실행이 됩니다!

 

하지만 이렇게하면 실행은 되지만 실행을 시키기 위해서는 두번을 눌러야합니다.

 

따라서 다음시간에는 한번의 커맨드로 실행시키기를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이거말고도 input.txt를 이용해 input값 입력하기,

 

실행하고난 후 exe파일 지우기 등등을 다음시간에 알아보도록하겠습니다.

반응형